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과 KIST 공동 연구팀이 금 나노입자(AuNP)를 활용해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효과적인 후보물질 발견했다.
카테고리 없음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과 KIST 공동 연구팀이 금 나노입자(AuNP)를 활용해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효과적인 후보물질 발견했다.

by honeypig66 2025. 3. 19.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경과원)과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공동 연구팀이 금 나노입자(AuNP)를 활용해 알츠하이머병 치료에 효과적인 후보물질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전통 한약재에서 추출한 특정 성분과 금 나노입자를 결합하여 새로운 형태의 나노복합체를 개발했으며, 이를 통해 신경 보호 및 치매 개선 효과를 확인했다.

1) 금 나노입자와 한약재의 결합

금 나노입자는 크기가 수 나노미터(nm) 수준으로 매우 작으며,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의학 및 약학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특히, 항산화 작용과 세포 보호 기능을 갖고 있어 신경계 질환 치료제 개발에 유망한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한약재에서 추출한 특정 성분과 금 나노입자를 결합함으로써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번 연구에서 사용된 한약재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지닌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금 나노입자와 결합했을 때 신경세포 보호 효과가 더욱 증대되었다. 연구진은 이 물질이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베타 아밀로이드 플라크(amyloid-beta plaques) 축적을 줄이는 데 효과가 있음을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

2) 실험 결과 및 기대 효과

연구진은 세포 실험과 동물 실험을 통해 금 나노입자-한약재 복합체의 효과를 분석했다. 실험 결과, 이 물질을 처리한 신경세포는 베타 아밀로이드에 의해 유발되는 세포 사멸이 감소했으며, 항산화 방어 기전이 활성화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알츠하이머병 모델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도 인지 기능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진은 이 후보물질이 기존 치료제보다 부작용이 적고, 천연물 기반이므로 장기적인 안전성이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금 나노입자의 특성을 활용하여 표적 치료(targeted therapy)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기존 치료법보다 한층 발전된 방식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3) 향후 연구 및 상용화 가능성

이번 연구는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에 있어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연구팀은 후속 연구를 통해 해당 나노복합체의 작용 기전을 더욱 정밀하게 분석하고, 임상 적용 가능성을 평가할 계획이다. 또한, 제약업계와 협력하여 상용화 가능성을 검토하고 있으며, 향후 건강기능식품 또는 의약품 형태로 개발될 가능성도 있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KIST는 지속적인 공동 연구를 통해 한약재와 나노기술을 접목한 바이오 의약품 개발을 추진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치매뿐만 아니라 다양한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