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진청, 미국 유전자변형 LMO감자 '수입 적합' 판정...마지막 관문 식약처 결정 남아
카테고리 없음

농진청, 미국 유전자변형 LMO감자 '수입 적합' 판정...마지막 관문 식약처 결정 남아

by honeypig66 2025. 3. 24.

최근 미국산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감자의 국내 수입과 관련된 논의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한국에 LMO 감자 수입 개방을 요청했으며,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해당 감자의 수입 승인 절차가 진행 중입니다. 현재 농촌진흥청이 안전성 평가를 완료하고, 최종 승인 여부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결정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1) 미국의 LMO 감자 수입 개방 요청

미국 상무부는 지난 2월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의 방미 시 LMO 감자 수입 제한 해제를 비공식적으로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미국 측은 자국에서 생산되는 LMO 감자가 맥도날드 등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언급하며, 한국에서도 수입을 허용해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그러나 산업부는 이에 대해 "장관 방미 시 상무부와의 협의 안건으로 LMO 감자 수입 제한 건을 논의한 바 없다"고 해명했습니다.

2) 농촌진흥청의 안전성 평가 완료

이러한 요청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미국산 LMO 감자에 대한 안전성 평가를 진행했습니다. 안전성 평가 결과, 해당 감자는 국내 생태계와 인체에 유해하지 않다는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에 따라 농촌진흥청은 해당 감자가 수입에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3) 최종 승인 절차: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결정

농촌진흥청의 안전성 평가가 완료됨에 따라, 이제 최종 승인 절차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결정만을 남겨두고 있습니다. 식약처는 해당 감자의 안전성 및 국내 유통 시 소비자 보호를 위한 추가적인 검토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식약처의 최종 결정에 따라 미국산 LMO 감자의 국내 수입 여부가 확정될 것입니다.


4) 국내 LMO 수입 현황과 향후 전망

현재 국내에서는 일부 LMO 품목이 사료용 등으로 수입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콩, 카놀라(유채) 등은 기름을 짜는 용도로 수입되고 있으며, 일부 품목은 사료용으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식용으로 직접 소비되는 LMO 감자의 수입은 이번이 처음으로, 이에 대한 국민적 관심과 우려가 높습니다.

식약처의 최종 결정이 내려지면, 미국산 LMO 감자의 국내 수입이 시작될 수 있습니다. 이는 국내 농업 및 식품 산업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소비자들의 선택 폭을 넓힐 수 있습니다. 그러나 LMO 식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인식과 우려를 고려하여, 정부는 철저한 안전성 검토와 투명한 정보 공개를 통해 국민들의 신뢰를 확보해야 할 것입니다.

5) 결론

미국산 LMO 감자의 국내 수입 여부는 현재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최종 결정을 앞두고 있습니다. 농촌진흥청의 안전성 평가 결과 수입에 적합하다는 판정을 받았지만, 최종 승인까지는 식약처의 추가적인 검토가 필요합니다. 정부는 국민들의 우려를 해소하고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 투명한 절차와 철저한 검토를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