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반월상 연골 손상의 증상과 개선 방법
카테고리 없음

2] 반월상 연골 손상의 증상과 개선 방법

by honeypig66 2025. 4. 2.

1. 반월상 연골이란?

반월상 연골(meniscus)은 무릎 관절 내에 위치한 반달 모양의 연골로, 대퇴골(허벅지뼈)과 경골(정강이뼈) 사이에서 충격을 흡수하고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반월상 연골은 내측(안쪽)과 외측(바깥쪽) 두 부분으로 나뉘며, 내측 연골이 외측보다 고정성이 크기 때문에 손상될 위험이 더 높습니다.


2. 반월상 연골 손상의 원인

반월상 연골 손상은 주로 스포츠 활동 중 급격한 방향 전환, 점프 후 착지, 무릎을 비트는 동작 등에 의해 발생합니다. 또한, 퇴행성 변화로 인해 연골이 약해지면서 손상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주요 원인


외상성 손상: 축구, 농구, 스키 등과 같은 스포츠 활동 중 무릎을 비틀거나 충격을 받을 때 발생


퇴행성 변화: 나이가 들면서 연골이 약해지고 탄력이 감소하여 작은 충격에도 손상이 발생

비만: 체중 증가로 인해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이 증가

반복적인 무릎 사용: 계단 오르내리기, 쪼그려 앉기 등의 반복 동작으로 인해 연골이 마모됨



3. 반월상 연골 손상의 증상

반월상 연골이 손상되면 통증과 함께 무릎 기능에 이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상 정도에 따라 증상이 다르게 나타나며, 대표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통증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는 동작에서 통증 발생

손상 부위에 따라 안쪽 또는 바깥쪽 무릎에 통증이 집중

2) 부기 및 염증


연골 손상으로 인해 관절 내 염증이 생기고 부기가 나타남

활동 후 부종이 심해지거나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증가

3) 무릎 잠김 현상 (Locking)

무릎을 움직일 때 걸리는 느낌이 들거나, 완전히 펴거나 구부릴 수 없는 증상

연골이 파열되어 관절 사이에 끼면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음


4) 불안정성 및 무릎 이탈 감각

무릎이 갑자기 빠지는 듯한 느낌이 들거나 힘이 빠짐

계단을 오르내릴 때 특히 증상이 두드러짐

5) 관절 내 소리 (Clicking, Popping)

무릎을 움직일 때 ‘뚝’ 하는 소리가 나거나 걸리는 듯한 느낌이 있음

4. 반월상 연골 손상의 진단

반월상 연골 손상은 정형외과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1) 신체 검사


맥머레이 테스트(McMurray Test): 무릎을 굽혔다 펴면서 회전시켜 연골 손상 여부 확인

압박 검사(Apley’s Test): 엎드린 상태에서 무릎을 굽히고 압력을 가하며 회전하여 통증 여부 평가


2) 영상 검사

MRI (자기공명영상): 연골 및 연부 조직 손상을 확인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


X-ray (엑스레이): 연골 자체는 보이지 않지만, 관절 간격 및 퇴행성 변화를 평가



5. 반월상 연골 손상의 치료 방법

반월상 연골 손상은 손상의 정도에 따라 보존적 치료와 수술적 치료로 나뉩니다.

1) 보존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

손상이 경미한 경우 보존적 치료를 통해 회복할 수 있습니다.

RICE 요법


Rest(휴식): 무릎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기 위해 활동을 최소화


Ice(냉찜질): 통증과 부종을 완화하기 위해 15~20분간 얼음찜질 시행


Compression(압박): 압박 붕대나 무릎 보호대를 착용하여 부종 방지


Elevation(거상): 심장보다 높이 위치하여 부종 완화


약물 치료

소염진통제(NSAIDs) 복용으로 통증 및 염증 완화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 등 연골 보호 보조제 섭취


재활 운동


허벅지 근력을 강화하는 운동(대퇴사두근 강화 운동)

무릎 주변 근육 스트레칭 및 균형 운동

2)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거나 심한 파열이 있는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관절경 연골 절제술: 손상된 부분만 정리하여 제거


관절경 연골 봉합술: 찢어진 연골을 봉합하여 재생 유도

연골 이식술: 심한 손상의 경우 건강한 연골을 이식하여 회복

6. 반월상 연골 손상 예방 방법

무릎 건강을 유지하고 반월상 연골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올바른 운동 습관


운동 전후 충분한 스트레칭과 준비운동 실시

무리한 방향 전환 동작을 피하고 올바른 자세 유지

2) 근력 강화


허벅지 앞쪽 근육(대퇴사두근) 및 뒤쪽 근육(햄스트링) 강화 운동 수행

균형 감각을 기르는 코어 운동 병행

3) 체중 관리

체중 증가를 방지하여 무릎 관절 부담 최소화

4) 보호 장비 착용

스포츠 활동 시 무릎 보호대를 착용하여 충격 완화


7. 결론


반월상 연골 손상은 조기에 진단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벼운 손상은 보존적 치료로 회복이 가능하지만,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무릎 건강을 위해 꾸준한 근력 운동과 적절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책입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