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삼성전자는 2025년형 네오(Neo) QLE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더 프레임 등 80여종 '탄소 발자국'과 탄소저감인증 받아.
카테고리 없음

1] 삼성전자는 2025년형 네오(Neo) QLED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더 프레임 등 80여종 '탄소 발자국'과 탄소저감인증 받아.

by honeypig66 2025. 3. 16.

삼성전자는 2025년형 네오(Neo) QLED,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더 프레임 등 80여 종의 TV 모델이 독일의 글로벌 시험·인증 기관인 TUV 라인란드(TÜV Rheinland)로부터 ‘탄소 발자국(Carbon Footprint)’과 ‘탄소 저감(Carbon Reduced)’ 인증을 획득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는 삼성전자가 지속 가능한 제품 개발을 위해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노력을 지속해온 결과로 평가된다.

1) TUV 라인란드는 전 세계적으로 신뢰받는 인증 기관 중 하나로, 제품의 친환경성과 지속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는 기준을 제공한다. ‘탄소 발자국’ 인증은 제품의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 배출량을 평가하는 것이며, ‘탄소 저감’ 인증은 이전 모델 대비 탄소 배출량을 줄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삼성전자는 이번 인증을 통해 TV 제품의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한 다양한 기술과 공정을 적용했음을 입증했다.

2) 삼성전자는 탄소 배출량 저감을 위해 제품 설계 단계에서부터 친환경 소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을 높이는 기술을 적용해 전력 소비를 줄이고 있다. 또한, 포장재에 재활용 소재를 사용하고, 사용 후 제품이 쉽게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하는 설계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이 인정받아 삼성전자는 2025년형 TV 제품군에서 ‘탄소 저감’ 인증을 받은 모델을 대폭 확대했다.

3) 특히, 삼성전자의 2025년형 네오 QLED와 OLED 제품은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는 한편, 기존 대비 생산 과정에서의 탄소 배출을 줄이기 위한 공정을 개선했다. 또한, ‘더 프레임’ TV는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능뿐만 아니라, 친환경 소재 활용을 확대하여 지속 가능한 제품으로 인정받았다.

삼성전자는 “앞으로도 친환경 기술 개발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제품을 선보이며 글로벌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선도해 나갈 것”이라며 “탄소 배출량 저감을 위한 노력을 지속적으로 기울여 환경 보호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4) 한편, 삼성전자는 TV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가전제품 등 다양한 제품군에서도 친환경 인증을 확대하고 있으며, 재생에너지를 활용한 제조 공정 도입, 전자 폐기물(E-Waste) 감소 등의 활동을 통해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천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은 글로벌 시장에서 친환경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