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없어서 못 판다’는 한국 김밥, 세계로 뻗어나가다
최근 워싱턴포스트(Washington Post) 가 한국 김밥의 세계적인 인기를 집중 조명했다. 김밥은 오랫동안 한국인들에게 친숙한 음식이었지만, 최근 몇 년 새 해외에서도 큰 인기를 얻으며 ‘없어서 못 파는’ 음식이 되었다. 미국, 유럽, 동남아 등지에서 김밥 전문점이 속속 등장하고 있으며, 한국을 방문한 외국인들도 김밥의 매력에 빠져들고 있다. 김밥이 글로벌 푸드 트렌드의 한 축으로 자리 잡게 된 배경에는 한식의 전반적인 인기 상승, 건강식 트렌드, SNS를 통한 확산 등이 맞물려 있다.
1) 김밥의 세계적 인기, 어떻게 가능했을까?
김밥의 해외 진출이 가속화된 데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있다. 첫째, 한식의 전반적인 인기가 높아진 점을 들 수 있다. K-POP, K-드라마, K-뷰티 등이 세계적으로 유행하면서 자연스럽게 한국 음식에 대한 관심도 커졌다. 한국 드라마나 예능에서 등장하는 김밥은 외국인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요소가 되었다. 특히 오징어 게임,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 같은 작품에서 김밥이 중요한 음식으로 등장하면서 글로벌 관심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둘째, 김밥이 건강식 트렌드와 맞아떨어졌다는 점도 중요하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헬시 푸드(Healthy Food)’ 열풍이 불고 있는데, 김밥은 기름에 튀기거나 볶지 않고 신선한 채소와 단백질을 함께 섭취할 수 있는 음식이다. 또한, 비건 김밥, 글루텐 프리 김밥 등 다양한 옵션이 가능해 현대인의 건강식 선호도에 부합한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저칼로리 고단백’ 음식으로 인식되면서 헬스 마니아들에게도 주목받고 있다.
셋째, 김밥이 ‘간편식’이면서도 ‘프리미엄 음식’으로도 변신할 수 있다는 점이 해외 소비자들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고 있다. 일본의 스시 롤과 유사한 형태지만, 훨씬 다양한 재료를 넣을 수 있고, 포장과 배달이 용이해 패스트푸드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갖췄다. 특히 미국에서는 ‘한국식 스시(Korean Sushi)’로 소개되면서 고급 한식당부터 푸드트럭, 편의점까지 다양한 방식으로 판매되고 있다.
2) 미국에서의 김밥 열풍
미국에서는 뉴욕, LA, 시카고, 샌프란시스코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김밥 전문점이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뉴욕의 대표적인 김밥 가게 중 하나인 김밥랩(Kimbap Lab) 은 현지인들에게도 큰 사랑을 받고 있으며, 채식 김밥, 유기농 김밥 등 다양한 콘셉트의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배달 서비스와 맞물려 김밥의 인기가 더욱 높아졌다. 워싱턴포스트 는 “김밥은 도시인들에게 이상적인 음식”이라고 평하며, 이동 중에도 먹기 편하고, 깔끔하며, 가격 대비 만족도가 높다는 점을 강조했다. 최근에는 미국 내 대형 슈퍼마켓 체인에서도 김밥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김밥 전문 배달 서비스’까지 등장하고 있다.
3) 유럽과 동남아에서도 김밥 붐
김밥의 인기는 유럽과 동남아에서도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유럽에서는 프랑스, 영국, 독일 등에서 김밥을 취급하는 한식당이 증가하고 있으며, 런던에서는 ‘김밥 카페’가 새로운 트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베를린과 파리의 비건 레스토랑에서도 김밥을 채식식단의 한 메뉴로 포함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동남아에서도 김밥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태국, 싱가포르, 베트남 등에서는 K-푸드의 영향력이 강해지면서 김밥 전문점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편의점에서도 김밥을 쉽게 구매할 수 있다. 특히 베트남에서는 한국식 김밥이 ‘고급 롤’로 인식되며 현지화된 메뉴까지 등장했다.
4) 김밥, 글로벌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을까?
김밥의 세계적인 인기가 지속될 수 있을지는 앞으로의 한식 글로벌화 전략과 소비자 트렌드 변화에 달려 있다. 현재까지의 흐름을 보면 김밥은 건강식, 간편식, 한류 문화 콘텐츠와 결합된 트렌드를 타면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김밥이 스시처럼 글로벌 푸드 시장에서 스테디셀러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다만, 일본 스시처럼 정통성 있는 브랜드가 형성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식업계의 지속적인 마케팅과 브랜딩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김밥은 더 이상 한국만의 간식이 아니라 세계적인 음식으로 거듭나고 있다. 앞으로 김밥이 한식의 대표 메뉴로 자리 잡으며 글로벌 푸드 시장에서 어떤 위치를 차지할지 기대되는 시점이다.
카테고리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