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살 아이, ‘이 장난감’ 가지고 놀다가 손이… “끔찍” 부모들 주목, 대체 뭐였길래? 슬라임의 부작용
카테고리 없음

10살 아이, ‘이 장난감’ 가지고 놀다가 손이… “끔찍” 부모들 주목, 대체 뭐였길래? 슬라임의 부작용

by honeypig66 2025. 5. 20.

물컷거리는 촉감과 다채로운 색상, 손으로 주무르는 재미로 아이들의 인기를 끌고 있는 ‘슬라임(slime)’은 마치 마법 같은 장난감처럼 보이지만, 이 장난감이 때로는 ‘화학 폭탄’이 되어 아이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는 사실은 많은 부모들이 간과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슬라임으로 인해 피부염, 호흡기 이상, 손의 화상이나 궤양 등 심각한 부작용 사례가 보도되면서, 슬라임의 성분과 작용 원리에 대한 과학적 분석이 절실해졌다. 다음은 슬라임의 과학적 특성과 부작용에 대해 심층 분석한 내용이다.

1. 슬라임의 구성 성분과 화학 반응

슬라임은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PVA)’과 ‘붕사(borax, 붕산나트륨)’ 또는 ‘붕산(boric acid)’의 화학 반응을 통해 만들어진다. PVA는 수용성 합성 고분자로, 접착제나 액체 풀에 들어 있는 성분이다. 붕사는 세척제나 농업용 비료에도 포함된 화합물로, 슬라임을 만들 때 점성을 강화하고 탄력을 주는 역할을 한다.


이 두 물질이 결합하면 붕산염 이온이 PVA의 수산기(-OH)와 반응하여 ‘교차결합(cross-linking)’을 형성한다. 이 교차결합이 많아질수록 슬라임은 더 탄력 있고 끈적한 상태가 된다. 이 반응은 소위 ‘비뉴턴 유체’라는 물리적 특성을 만들어내며, 슬라임은 누르면 단단하고 천천히 잡으면 흐르는 성질을 가진다.

문제는 이러한 화학 반응에 사용되는 붕사와 붕산이 인체에 유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2. 붕사와 붕산의 독성 문제


붕사는 식품첨가물로 허용되지 않으며, 유럽연합(EU)에서는 붕사를 생식 독성 물질로 분류하고 어린이용 제품에서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피부를 통한 흡수나 흡입, 섭취 시 독성이 문제가 된다.


붕산이나 붕사는 체내에서 흡수되면 생식기계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다량 노출 시 구토, 설사, 복통, 두통, 간·신장 기능 저하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국제암연구소(IARC)는 붕산을 잠재적 발암물질로 분류하고 있다.

장난감을 가지고 놀았다가, 손 전체가 붉어지고 피부가 벗겨지는 등 알레르기 증상을 겪은 사례가 공개됐다./사진=스페인 피부과학회 저널

어린이의 경우 피부가 얇고 면역체계가 완전하지 않아 붕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실제로 슬라임을 장시간 만진 어린이들 중 손바닥에 화상처럼 물집이 생기거나 벗겨지는 ‘접촉성 피부염’ 증상을 보인 사례가 적지 않다. 특히 피부에 상처가 있거나 장시간 만지는 경우, 더 많은 화학 성분이 체내에 흡수될 수 있다.

3. 시판 슬라임과 수제 슬라임의 차이

시판되는 슬라임은 비교적 안전성을 고려해 제조되며, 제품마다 유해물질 함량 기준을 통과해야 판매가 가능하다. 하지만 이 기준조차 완벽하지 않으며, 일부 저가 제품은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채 온라인이나 문방구 등에서 유통되기도 한다.


더 큰 문제는 아이들과 부모들이 집에서 직접 만드는 ‘수제 슬라임’이다. 인터넷에는 다양한 슬라임 DIY 영상과 레시피가 존재하는데, 대부분 붕사나 렌즈 세척액(붕산 함유)을 기본 재료로 사용한다. 붕사의 농도나 사용량에 대한 명확한 기준 없이 만드는 수제 슬라임은 시판 제품보다 더 많은 양의 유해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화학 반응이 덜 일어난 불완전 슬라임일 경우 피부 접촉에 더 해로울 수 있다.


4. 슬라임으로 인한 주요 부작용 사례

피부 화상 및 궤양: 붕사가 고농도로 함유된 슬라임을 장시간 손에 쥐고 있으면 피부가 붉어지거나 벗겨지고, 심할 경우 2도 화상과 유사한 궤양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10세 전후의 아이들의 손 피부는 민감하고 얇아 손상이 더 크다.


호흡기 자극: 슬라임에서 나오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 특히 향료나 착색제에서 방출되는 물질이 아이들의 코 점막과 폐를 자극해 재채기, 기침, 코막힘 등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신경계 이상: 일부 슬라임에서 검출된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프탈레이트 등의 유기화합물은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며, 장기 노출 시 두통, 어지럼증, 집중력 저하 등을 일으킬 수 있다. 특히 포름알데히드는 1군 발암물질이다.


내분비계 교란: 프탈레이트류는 대표적인 환경호르몬으로, 어린이의 성장과 호르몬 발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장난감에 들어 있는 향료나 가소제에서 방출될 수 있다.


5. 실험과 연구로 본 슬라임의 위험성

2020년 한국소비자원은 시중 슬라임 25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절반이 넘는 제품에서 붕소가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일부 제품은 기준의 3~4배 이상 초과했으며, 아이가 30분 이상 손에 접촉할 경우 유해한 수준으로 평가됐다.


유럽연합에서도 비슷한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영국 소비자 단체 ‘Which?’는 일부 슬라임 제품이 EU 허용 기준(300 mg/kg)을 초과하는 붕소를 포함하고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더불어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슬라임과 관련된 화학 성분 노출로 인해 피부염, 호흡기 이상, 알레르기 반응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특히 어린이와 임산부는 피해야 할 제품으로 명시했다.

6. 부모가 알아야 할 슬라임 사용 수칙

1. 붕사 성분 확인: 제품에 ‘borax-free’, ‘non-toxic’ 표기가 있는지 확인하되, 믿을 수 있는 인증마크(KC, CE 등)를 함께 확인해야 한다.


2. 사용 시간 제한: 슬라임은 하루 10~15분 이내로 사용하도록 제한하고, 반드시 사용 후 손을 씻도록 한다.

3. 상처나 습진 부위에 사용 금지: 피부에 상처나 염증이 있는 경우 접촉을 피해야 하며, 장갑 착용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4. 직접 제작 금지: 가정에서 붕사나 붕산이 포함된 재료로 슬라임을 직접 만드는 것을 지양하고, 안전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환기 상태 확보: 슬라임 놀이 중에는 반드시 환기가 잘 되는 환경에서 해야 하며, 밀폐된 공간에서는 장시간 놀이하지 않도록 한다.

6. 어린 동생·반려동물 주의: 슬라임을 삼킬 위험이 있는 영유아나 반려동물이 있는 가정에서는 슬라임 보관에 특별히 주의해야 한다.


7. 대안으로서의 자연 유래 슬라임

최근에는 천연 원료로 만든 슬라임 제품이 출시되고 있다. 콘스타치, 식용 젤라틴, 해조류 추출물(알긴산) 등을 활용한 제품은 붕사가 없어 비교적 안전하다. 다만 이들 제품도 부패 가능성이 있으므로 위생적인 보관과 주기적인 교체가 필요하다.

에버플레이의 슬라임과 클레이는 플라스틱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생분해가 가능한, 친환경 점토완구입니다.

또한 아이의 감각 발달과 창의력 향상을 목적으로 장난감을 선택할 경우, 점토, 블록, 모래놀이 등 보다 안전한 대안도 고려할 수 있다.

결론

슬라임은 그 자체로 유해하다고 단정지을 수는 없지만, 성분에 대한 과학적 이해 없이 무분별하게 사용할 경우 아이의 건강에 심각한 위해를 가할 수 있다. 특히 붕사나 붕산 같은 화학 물질은 아이의 피부, 호흡기, 신경계에 해를 끼칠 수 있으며, 부모의 관리 없이 사용될 경우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부모가 슬라임을 단순한 장난감이 아니라 ‘화학 반응의 결과물’로 인식하고, 정확한 정보와 함께 사용법을 지도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이가 웃으며 놀기 위한 슬라임이 비명이 되는 순간을 막기 위해서는 과학적 지식과 세심한 주의가 반드시 필요하다.



TOP

Designed by 티스토리